사진을 막 시작하면 꼭 듣게 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ISO예요.
처음엔 어렵게 느껴지지만, 사실 ISO는 단순히 카메라가 빛을 얼마나 민감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숫자로 표시하는 것뿐이에요.
오늘은 카메라 초보자와 어린 학생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일상 속 다양한 상황 예시로 ISO를 쉽게 알려드릴게요.
ISO란 무엇인가요?
ISO 숫자가 의미하는 건 간단합니다.
- 숫자가 작을수록 → 빛에 둔감 → 밝은 낮에 적합
- 숫자가 클수록 → 빛에 민감 → 어두운 환경에서 유리
즉, ISO는 카메라의 눈 밝기 조절 스위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일상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 맑은 낮에 사진 찍을 때
햇빛이 강하게 들어오는 날은 카메라가 이미 충분히 밝습니다.
- ISO 100~200이면 선명하고 깨끗한 사진이 나와요.
- 너무 ISO를 높이면 불필요하게 밝아지고 사진이 뿌옇게 보일 수 있어요.
🌧️ 흐린 날·비·눈 오는 날
하늘이 어둡고 빛이 약한 날은 조금 더 민감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 ISO 400~800 정도로 올려야 사진이 적당히 밝아집니다.
- 눈이나 빗방울이 찍힐 때, 조금 더 ISO를 올리면 분위기 있는 장면을 만들 수 있어요.
🌕 밤하늘에 달 찍기
달은 멀리 있지만 생각보다 밝게 빛납니다.
- ISO는 너무 높이지 말고, 400~800 정도로 유지하세요.
- 삼각대를 사용하면 달의 표면까지 깨끗하게 담을 수 있습니다.
🚗 야간에 달리는 자동차 찍기
깜깜한 밤길을 달리는 자동차는 불빛이 빠르게 지나가죠.
- 이럴 땐 ISO를 1600 이상으로 올려야 불빛과 차체가 선명하게 잡혀요.
- 셔터 속도와 함께 조절하면 자동차 불빛이 길게 늘어나는 멋진 사진도 만들 수 있습니다.
상황별 ISO 설정 요약 표
상황 | 추천 ISO 값 | 추가 팁 |
---|---|---|
🌞 맑은 낮 | 100 ~ 200 | 낮을수록 사진이 깨끗하고 선명 |
🌧️ 흐린 날·비·눈 | 400 ~ 800 | 흐림·눈·비가 심하면 ISO 조금 더 ↑ |
🌕 밤하늘 달 | 400 ~ 800 | 삼각대 사용 시 달 표면까지 선명 |
🚗 야간 자동차 | 1600 이상 | 셔터 속도 조절로 불빛 궤적 표현 가능 |
ISO를 올릴 때 주의할 점
ISO는 높이면 높을수록 사진이 밝아지지만, 대신 **노이즈(잡음)**가 생길 수 있어요.
깨끗한 사진을 원한다면 필요한 만큼만 ISO를 올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ISO는 복잡한 기술 용어가 아니라, 카메라가 빛을 얼마나 잘 받아들이는지 알려주는 숫자예요.
- 낮에는 낮게,
- 밤에는 높게,
- 상황에 맞게 조절하는 것만 기억하면 충분합니다.
👉 오늘 배운 예시(달, 자동차, 날씨)에 맞춰 직접 ISO를 바꿔 보세요.
사진의 분위기가 달라지는 경험을 직접 체험하면, ISO가 훨씬 쉽게 느껴질 거예요.
핵심 요약
- ISO는 카메라의 빛 민감도
- 낮에는 낮게, 밤에는 높게
- 맑은 날 → ISO 100~200
- 흐린 날·비·눈 → ISO 400~800
- 달 사진 → ISO 400~800 (삼각대 활용)
- 야간 자동차 → ISO 1600 이상 (셔터 속도 조절)
- 높이면 밝아지지만 노이즈 발생
👉 행동
“카메라를 들고 낮·밤·날씨별로 ISO를 바꿔 보세요! 📸
사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체험하면 ISO가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결혼반지와 함께 SNS / IT 쉽게 배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