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을 빼려고 수개월간 식사량을 줄이고,
운동을 해도 체중이 좀처럼
줄지 않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단순한 ‘의지 부족’으로 치부하기 쉽지만,
신체가 가진 대사 방어 기전과 호르몬 요인이
크게 작용합니다.
최근에는 이런 난치성 비만 환자들을 위한
최신 치료제와 시술도 등장해
많은 변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1. 난치성 비만, 원인 3가지
① 대사 유지 장치(셋포인트 이론)
우리 몸은 특정 체중을 유지하려는
생물학적 ‘셋포인트(set point)’가 있습니다.
체중이 줄면 몸은 이를 위협으로 받아들여
신진대사 속도를 크게 낮춥니다.
그 결과, 이전보다 훨씬 적은 칼로리를 먹어야
겨우 체중이 유지됩니다.
📌 출처: 위키백과 – Set Point Theory
② 대사 적응(에너지 보존 반응)
다이어트와 운동으로 급격히 체중을 줄이면
몸은 “에너지 부족” 상태로 판단해 대사율을 낮추고
소비 에너지를 줄입니다.
이 때문에 같은 양의 운동을 해도
점점 살이 빠지지 않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 출처: Harvard Health Blog
③ 유전 & 호르몬 복합 작용
FTO, MC4R 같은 유전자는
체중 유지와 식욕에 직접 관여합니다.
또한 인슐린 과다, 코르티솔 과다,
갑상선 기능 저하 같은
호르몬 불균형도 체중 감소를 어렵게 합니다.
특히 인슐린 저항성이 있으면
같은 양의 음식을 먹어도 지방으로 쉽게 저장됩니다.
📌 출처: 위키백과 – Genetics of Obesity
2. 의학적 치료의 진화
GLP-1 계열 주사 요법 (Semaglutide, Tirzepatide 등)
- Semaglutide (Wegovy, Ozempic) →
- 평균 15% 체중 감소
- Tirzepatide (Mounjaro) → 최대 20% 체중 감소로 Semaglutide보다 효과 우수
- 효과: 식욕 억제, 포만감 유지, 혈당 개선
📌 출처: JACC, NEJM, Harvard Health
경구용 GLP-1 제제: Orforglipron
- 알약 형태로 주사 거부감을 해소
- 평균 10.5% 체중 감소 + 혈당 개선
- 부작용: 구역, 속쓰림이 가장 흔함
📌 출처: Reuters
첨단 치료법
- Retatrutide: GLP-1, GIP, Glucagon 수용체 동시 자극 → 48주 만에 24.2% 감량, 현재 3상 임상 진행 중
- Bariatric arterial embolization (위 동맥 색전술): 위에서 식욕 호르몬 ghrelin 분비를 줄여 체중 감량 유도
- Fractyl Health의 Revita 시술: 소장 점막을 리모델링해 인슐린 저항 개선
📌 출처: Wikipedia – Retatrutide, Oxford Online Pharmacy
AI & 웨어러블 기반 맞춤형 관리
웨어러블 기기와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개인의 대사 반응을 분석하고,
체중 변화 예측 및 맞춤형 습관 교정을
제안하는 최신 기술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 출처: arXiv 논문
3. 국내외 치료 사례
해외 사례
- 세리나 윌리엄스: 출산 후 감량이 어려웠지만
- GLP-1 주사로 8개월간 14kg 감량 성공.
- 활력을 되찾았다고 밝힘【nypost.com】
- 시에라 로비쇼드 (미국): Wegovy 주사로 6개월 만에 25kg 감량.
- “식단 강박에서 벗어나 삶의 질이 좋아졌다”는 경험담【thesun.co.uk】
- Aisleyne Horgan-Wallace (영국):
- 불법 주사 사용으로 구토·시력 손상·
- 코마 직전 부작용 경험.
- 안전한 치료 필요성을 강조【people.com】
🇰🇷 국내 및 임상 사례
- 앤드레아 무리낙스:
- GLP-1 주사와 생활습관 교정 병행 →
- 점진적 감량 성공【muhealth.org】
- SCALE 연구 (리라글루타이드): 5
- 6주간 복용 환자 중
- 54.3%가 5% 이상, 25.2%가 10% 이상
- 체중 감량 성공【PMC 논문】
- Semaglutide 장기 연구:
- 4년간 평균 10% 체중 감소,
- 허리둘레 7.7cm 줄어듦.
-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도 확인【Nature】
4. 안전한 치료와 주의점
- GLP-1 주사 치료는 효과적이지만 혈
- 전·구토·소화장애 부작용이 가능
- 가짜·불법 약물은
- 치명적 위험 (시력 손상, 혼수 등 보고됨)
- 반드시 전문의 상담·정기검진·
- 생활습관 개선이 병행돼야 함
5. 정리
체중이 줄지 않는 것은
단순히 운동 부족이 아니라
몸의 생리적 방어 시스템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신 의학 연구와 치료법은 극단적인 체질도
변화시킬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줍니다.
다만 중요한 것은 전문의의 지도,
꾸준한 생활습관 교정, 안전한 치료제 선택입니다.
모든분들의 건강을 결혼반지가 응원합니다~
'가족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화의 원인과 대책 (1) | 2025.08.31 |
---|---|
대상포진, 증상·치료·후유증·예방 백신 총정리 (4) | 2025.08.29 |
호르몬 부작용과 치료(총정리) (6) | 2025.08.27 |
치매 대처법 완벽정리 (5) | 2025.08.26 |
대사 증후군 완벽 정리 (4) | 2025.08.25 |